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치과학45

치과의사 면허신고 완벽 정리, 이렇게만 따라하세요 의료법에 의해 의료인(의사,치과의사,한의사,간호사,조산사)으로 분류되는 직군은 최초로 면허를 취득한 후 3년마다 보건복지부장관에게 면허신고를 해야합니다. 오늘은 치과의사 면허신고 대상과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치과의사 면허신고 대상치과의사 면허신고는 최초 치과의사 면허 취득 후 3년마다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실태와 취업상황을 신고해야 합니다.신고 대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012~2013년 최초 면허 신고 후 면허신고를 하지 않은 치과의사2) 마지막 면허 신고 후 3년 이상 경과한 치과의사 본인이 언제 마지막으로 면허 신고를 했는지 기억해보세요3) 3년전 치과의사 면허를 취득한 치과의사4) 3년전 치과의사 면허를 신고한 치과의사 예를들어,-올해가 2024년이면 3년전인 2021년에.. 2024. 12. 23.
미성숙 영구치 어금니 신경치료 과정, 재료 선택 인간의 치아 중 가장 중요한 치아가 무엇일까요? 치과의사마다 답변은 다를 수 있지만 대다수의 경우 제 1 대구치, 즉 영구치 큰어금니 중 첫번째 큰어금니를 제일 중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제 1 대구치는 만 6세경 맹출해서 6세 구치라고도 불립니다. 상대적으로 어릴 때(6세) 맹출하는 영구치이기 때문에 영구치 중 충치 발생 비율이 매우 높은 치아입니다. 오늘은 미성숙 영구치 어금니 신경치료 과정과 재료를 소개 드리겠습니다.1. 미성숙 영구치란?앞서 언급한 것처럼, 첫번째 어금니는 비교적 어린 나이에 맹출하며 잇몸에 부분적으로 덮여있을 경우 음식물이 계속 끼어있게되어 치태가 쌓이고 이후 충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어금니가 나오고 2~4년 사이가 충치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은 시기입니다. 어금니가 맹출하기 .. 2024. 11. 18.
서울/경기 치과의사 보수교육 4점 채우기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학술대회) 치과의사는 매년 보수교육 8점을 채워야합니다. 연말이 다가올수록 보수교육 점수를 어디서 채울지 고민이 되는 와중에, 서울, 경기지역 치과의사 원장님들에게 좋은 학술대회가 있어서 글을 올려봅니다.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아주대학교에서는 매년 학술대회를 합니다. 학회차원에서 하는 학술대회보다는 규모가 조금 작지만 그래도 수업 내용이 항상 알차고 임상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로 매년 강의를 해주셔서 저는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학술대회에 2020년부터 등록하였습니다. 또한 아주대학교 병원은 신분당선 광교역과 가까워 대중교통을 타고 오기에도 편하고, 자차를 이용해도 주차권을 지급해주니 올만하더라고요. 가장 큰 점은 역시 보수교육 점수를 몇 점 받을 수 있느냐?인데, 통크게 4점을 줍니다ㅎㅎ그래서 오늘은 서울/경기 치과의사.. 2024. 10. 21.
사랑니 부위 통증, 발치 꼭 필요한 케이스 정리 사랑니는 영구치 중 가장 늦게 나는 치아로, 보통 17세에서 25세 사이에 나기 시작합니다. 치아 공간이 충분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자라면 주변 치아를 밀어 통증, 염증, 혹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사랑니가 정상적으로 나지 않거나 잇몸 속에 매복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사랑니가 나는 것은 아니며, 4개 또는 더 적게 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사랑니 부위에 통증 원인과 통증이 있는 경우 대처방법, 사랑니 발치가 꼭 필요한 케이스를 정리해 보겠습니다.1. 사랑니 통증 원인사랑니 통증의 제일 대표 원인은 사랑니주위 잇몸에 염증이 생긴 경우입니다. 사랑니가 부분적으로 맹출 하는 경우 사랑니와 그 주변 잇몸에 음식물이 끼게 되고 염증이 유발됩니다... 2024. 9. 27.
Clear aligner technique 투명교정 4 7. 총생의 해소확장, 절치 순측 경사, 치간삭제, 발치와 같은 옵션이 있음 1) 확장초기 악궁 형태가 좁고 협착 -> ovoid로 확장 가능하악은 구치 직립시켜 협측 치관 토크 부여를 통해 공간 확보(1) Global clinical preference견치간, 소구치간, 대구치간 폭경 모두 확장 or 원하는 부분만 확장악궁 확장량도 4분악 당 2mm 이하/이상 선택가능 (2mm가 resonable)(2) 골격적인 확장 vs 치성 확장골격적 확장 - 불가능 (필요시 RPE) (3) Design만약 협측 반대교합 보이는 경우, 상악궁 과확장 필요. - 상악 대구치 설측교두가 하악 대구치 협측교두와 접촉할 때까지. 2) 절치의 순측 경사절치 순측 경사로 총생 해소 가능하나, 이 방법이 적절한지 평가 필요함... 2024. 8. 13.
과잉치 꼭 뽑아야하나요? 치과 정기 검진 중 과잉치가 있다는 얘기를 들어본적이 있으신가요?오늘은 과잉치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꼭 뽑아야하는 케이스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과잉치란?  과잉치는 정상적인 치열보다 추가로 발생한 치아를 의미하며, 대체로 윗 앞니 입천장 쪽에 주로 많이 발생됩니다. 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며, 하악보다는 상악에서 더 흔히 나타나고, 여아보다는 남아에서 더 호발합니다.과잉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앞니 사이에 생기는 "정중과잉치(mesiodens)"입니다. 이러한 과잉치는 치열의 배열을 방해하거나 치아 맹출 경로를 막을 수 있습니다.과잉치의 존재는 주변 치아의 정상적인 발육을 방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증을 유발하거나 치아 배열의 이상을 초래할 .. 2024.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