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투자 인사이트 글을 하나 적어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시작된 이후 불안불안하던 미국 증시가 하락과 폭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저도 장기 투자하는 종목과 스윙 투자하는 종목이 나누어져있는데 장투 종목이 있어서 그나마 버티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우리들은 무엇을 하면 될까요?
오늘은 국가별 미국 관세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고 나스닥 차트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1.국가별 미국 관세 정책 정리
1)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 부과
2) 추가로 60여개국은 이보다 높은 관세인 "상호 관세" 부과
기준 : 각 국가마다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만큼 부여
다만 한국은 FTA로 양국간 관세가 0%에 가까우나
검역, 규제, 통화 정책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관세를 정하겠다고 함.
3) 상호관세 계산법 = 각국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 / 미국 수입액
미국은 한국에 660억 달러 적자를 봤고 수입액은 1315달러이므로
대략 50%로 계산. 이를 반으로 나누어 상호관세 25% 부여
4) 국가별 상호관세율
국가 | 미국 상호 관세 | 국가 | 미국 상호 관세 |
중국 | 34 % | 인도네시아 | 32 % |
유럽 연합 | 20 % | 말레이시아 | 24 % |
베트남 | 46 % | 캄보디아 | 49 % |
대만 | 32 % | 영국 | 10 % |
일본 | 24 % | 남아공 | 30 % |
인도 | 26 % | 브라질 | 10 % |
대한민국 | 25 % | 방글라데시 | 37 % |
태국 | 36 % | 싱가포르 | 10 % |
스위스 | 31 % | 이스라엘 | 17 % |
필리핀 | 17 % | 니카과라 | 18 % |
칠레 | 10 % | 노르웨이 | 15 % |
호주 | 10 % | 코스타리카 | 10 % |
파키스탄 | 29 % | 요르단 | 20 % |
터키 | 10 % | 도미니카공화국 | 10 % |
스리랑카 | 44 % | 아랍에미리트 | 10 % |
콜롬비아 | 10 % | 뉴질랜드 | 10 % |
페루 | 10 % | 아르헨티나 | 10 % |
에콰도르 | 10 % | 과테말라 | 10 % |
마다가스카르 | 47 % | 온두라스 | 10 % |
미얀마 | 44 % | 튀니지 | 28 % |
세르비아 | 37 % | 카자흐스탄 | 27 % |
이집트 | 10 % | 사우디아라비아 | 10 % |
코트디부아르 | 21 % | 엘살바도르 | 10 % |
라오스 | 48 % | 보츠와나 | 37 % |
모로코 | 10 % | 트리니다드토바고 | 10 % |
2. 나스닥 차트
나스닥 일봉 차트 먼저보실게요.
이전 저점들을 연결한 상승 채널을 이탈하고 하락추세로 들어섰습니다.
16500 포인트가 지지라인인데 결국 여기까지 도달하고 말았습니다.
16500이탈시 15000포인트까지 열려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은 나스닥 주봉입니다.
주봉차트 보시면 2021년 고점(약 16000포인트)이 지지라인입니다.
지지라인 이탈시 14000포인트까지 열려있습니다.
저는 차트 분석을 하긴하지만 지수 투자의 경우는 장기 투자가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지 포인트에서 추가 매수를 하는 전략으로 buy and hold 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나스닥과 SCHD와 같은 경기 방어주가 많이 포진되어 있는 ETF를 섞어서 투자하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나스닥 변동성을 견딜 수 있으시면 QQQ만 투자하셔도 좋고요.
개인적으로는 SCHD가 방어를 하고있기에 저는 TQQQ를 섞어서 투자하고 있습니다.
TQQQ는 변동성이 더 크기에 QQQ+SCHD를 추천드립니다.
누구도 최저점을 예상할 수 없기에 지지라인에서 분할 매수를 하시고 시간을 녹여내시면
양질의 투자가 될 것입니다.
ETF를 만든 뱅가드의 존보글의 명언을 남기고 마무리할게요.
stay the course!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청약 순위, 청약 점수 계산하기 (1) | 2025.03.24 |
---|---|
국민연금개혁안, 받는 돈과 시행일 정리 (0) | 2025.03.21 |
내가 부자가 될 수 있을지 알아보는 법 (0) | 2025.03.20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및 가입조건 정리 (0) | 2025.03.18 |
미국 지수 레버리지 ETF, 지금이니? (1)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