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2024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주요 연구 및 저서 알아보기

by 미미맴 2024. 10. 19.
반응형

2024년 노벨 경제학상은 다론 아세모글루(Daron Acemoglu), 사이먼 존슨(Simon Johnson), 그리고 제임스 로빈슨(James A. Robinson)에게 수여되었습니다. 아세모글루와 존슨은 MIT 교수로 재직 중이고, 로빈슨은 시카고 대학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이 세 명의 경제학자는 제도(institutions)가 국가의 번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공로로 상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국가의 경제적 번영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결정적으로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고 민주주의가 경제 발전에 이롭다는 관점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았습니다. 

 

2024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주요 연구와 저서

 

이들의 연구는 국가 간 번영의 차이가 주로 제도에 기인한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포용적 제도가 확립된 사회는 발전 가능성이 높고, 착취적 제도가 있는 사회는 성장에 제약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권위주의적인 정권에서는 혁신을 달성하는데 어려우며, 이러한 연구는 역사적 사건, 특히 유럽의 식민지배가 오늘날 국가들의 경제적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지역에서는 식민 통치가 원주민을 착취하기 위한 제도를 만들었고, 이는 경제적 낙후를 가져왔습니다.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보다 포용적인 제도가 도입되어 장기적인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습니다.

 

그 3명의 공동수상자들의 공동 집필 저서 3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2012)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는 우리 나라에서도 꽤나 유명한 도서입니다. 저도 읽지는 않았지만 제목은 많이 들어봤던 것 같습니다. 이 저서는 정치나 경제 제도에서 "포용성"이 국가의 경제 성장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서술하고 있습니다. 시민 다수가 참여하고 개인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시장에서 공정하게 평가받는 국가에서는 번영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소수 엘리트가 권력을 독점하고 자원을 착취하는 국가는 경제적으로 발전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2. 좁은 회랑 (2019)

좁은 회랑이라는 개념은 국가가 강한 권력을 가지면서도 시민들이 이를 견제할수 있는 균형을 의미합니다. 이 회랑을 벗어나면 권위주의 또는 혼란 상태로 빠집니다. 국가 권력의 극단적 형태를 "레비아탄"으로 묘사하는데 이게 너무 강력하면 독재로 이어집니다. 결국 국가와 사회가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만 번영이 가능하다는 것을 담고 있습니다. 

주요 개념 자체는 당연하게 이해되지만 이를 개념적으로 정립한다는게 정말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 같습니다. 

 

3. 권력과 진보 (2023)

좁은 회랑에 이어서 국가의 번영과 실패의 원인을 탐구합니다.

특히 기술의 진보와 연관지어 설명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진보가 경제 성장의 원천이지만 진보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이 사회에 평등하게 공유되어야 장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담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과 AI가 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으며 기술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일자리를 제공하도록 제도를 설계해야함을 주장합니다. 

최근에 미국 빅테크나 AI 관련 기업들이 많이 생각 나더라구요. AI 산업은 아직 시작 단계이지만 이미 많은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을텐데, 어떻게 이를 잘 풀어나가야 할지, 생각해 볼 주제입니다. 

 

이렇게 2024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수상자들의 주요 연구와 저서의 대략적인 내용을 상식으로 조금이나마 알아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반응형